반응형
청일전쟁이 일어난 이유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성공시킨 후 근대화를 이루면서
제국주의적 진출을 도모하였습니다.1871년 일본은 청나라와 수호조약을 체결하고 화친 관계를 맺었지만,
아시아에서 패권을 두고 양국간의 분쟁이 발생하였습니다.일본은 류큐인 인이 타이완인에 의해 살상된 것을
계기로 타이완에 출발하면서 청의 간섭을 받지 않고 일본의 권력 권하에 두게 되었습니다.제일큰 분쟁은 조선
문제를 둘러싼 다툼이였습니다.일본은 조선과 수호 조약을 강제로 체결하며 원산,인천,부산을 개항시켰고,
청은 일본의 조선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 서양의 각국과도 조약을 맺도록 조언하였습니다.조선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청나라는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조선의 주도권을 잡았고,1844년 일본의 지원을 받은 개화파가 갑신정변
을 일으키자 청나라는 3일만에 진압합니다.청나라와 일본 양국은 텐진조약을 체결하여 양국 군대를 철수하고
조선에 출병할 때에는 서로 알리기로 약속을 합니다.1894년 조선에서 동학농민운동이 발생하자 위기에 처한
조선정부는 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하였고 일본도 텐진조약에 근거하여 청나라와 동시에 파병을 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은 조선과 청나라의 국교를 단절시키면서 청나라와 일본의 군대가 조선 내에서 충돌하게 됩니다.평양전투
라오둥 반도의 뤼순을 차례로 함락시키면서 일본 해군은 우세한 전력으로 연승을 합니다.하지만 미국의 중재로
일본과 청나라는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합니다.
일본은 승전 대가로 거액의 돈과 중국의 영토인 라오둥반도,타이완을 할양받았지만 러스아,프랑스.독일 3국이
간섭하여 랴오둥반도는 중국에 반환 되었습니다.청일전쟁은 일본의 조선 식민지 정책에 있어 반드시 거쳐야하는
관뭉이었습니다.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에 배타적 지배권을 확립하였고,청나라에게 배상금과 요동반도
영토를 넘겨받아 대륙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이러한 일본의 독주는 러시아를
비롯한 다른 제국주의 열강을 크게 자극하는 결과를 낳게되었습니다.조선은 이 청일전쟁 과정에서 사실상
두나라의 전쟁터 약확에 불과했습니다.해군의 경우 아산만 지역에서 두나라가 교전하고 육군은 평양지역에서
교전하여 그지역이 사실상 피폐해졌고 전쟁과 맞물려 일어난 동학농민운동도 더불어 일본이 사실상 무장 군인을
파견함으로 우금치전투에서 20만의 동학 농민군이 일본군에게 전멸당하는 사간이 일어남으로써 민중을 중심으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도 실패로 끝났니다.
청나라는 전쟁이 끝나자 서양 열강의 잔인한 제국주의 역사속에 방치되게 되었습니다.전쟁 이전 청나라의
해외차관규모는 전쟁이후 부채가 700만 파운드로 늘어낫고 서태후가 마땅해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자금 1천3백냥
등을 지불하는 등 극복 노력을 보였으나 영국의 해상관세 감찰관이 배상금 지불 과정을 관리감독하여 청국의
재정 자주권을 심각하게 훼손되었습니다.청일전쟁의 패전은 결국 청나라의 종말을 예고하기도 했던 역사적
사건 입니다.패전은 청나라 내부는 물론 외부의 평판까지 급격히 약화시켰습니다.만주족의 통치가 무너지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인식이 팽배하였으며 서양 열강은 청나라의 분할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반응형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머스 에디슨 생애와 업적 (1) | 2020.04.20 |
---|---|
콜럼버스 아메리카를 발견하다 (0) | 2020.04.12 |
최무선 화약과 화포 개발 (0) | 2020.04.09 |
다산 정약용 주요 업적과 생애 (2) | 2020.04.08 |
을사오적 5명을 알아보자 (0) | 2020.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