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이야기

혜성의 기원 오르트 구름

반응형

오르트 구름이란 태양계를 껍질처럼 둘러싸고 있다고 생각되는 가상적인 천체 집단입니다.태양에서

약 1만AU,혹은 태양의 중략이 다른 항성이나 은하계의 중력과 같아지난 약 10만AU안에 둥근 껍질처럼

펼쳐져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크기는 정확하게 계산되지 않았습니다.오르트 구룸속의 먼지,얼음

조각들은 아주 천천히 태양의 회곽을 도는데 때때로 서로 부딪치거나 가까운 천체의 인력으로 인해

운동방향이 바뀐니다.이때 속도가 빨라지면 태양계 밖으로 빠져나가고,반대로 느려지면 태양계의

안쪽 까지 들어와 태양의 빛과 열에 의해 기체와 먼지로 에워싸인 혜성이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구형의

중심권 외부 오르트 구름과 도넛 모형의 중심 오르트 구름으로 세분화됩니다.혜성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보면,오르트 구름 물질의 대다수는 물,메탄,일산화탄소,에탄,시안화수소 같은 다양한 얼음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그러나 대표적인 장주기 혜성과 비슷하면서 궤도 안에 있는 소행성인 1996 PW의 발견으로

단단한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을가능성이 제기 되었습니다.


오르트 구름은 안과 밖으로 나누어집니다.안쪽은 태양에서 2천~2만AU,바깥쪽은 태양에서 2만~5만AU
거리만큼 떨어져 있습니다.하지만 고확지들의 견해가 조금씩 달라서 오르트 구름이 시작되는 범위를 
해왕성 궤도 바깥쪽부터 보기도 하며,오르트 구름의 끝을 10만 AU 이상으로 보는 과학자도 있습니다.
오르트 구름에 속하는 천체들은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습니다.직경이 1KM되는 천체가
큰 종류에 속할 정도입니다.천체의 개수는 수조개가 넘을것으로 추측되지만,정작 질량은 낮습니다.
바깥쪽 천체들을 전부 합해도 질량이 지구의 5배 정도의 수준이라 합니다.오르트 구룸의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첸체가 조밀하게 밀집되어 있지 않아 실제로 구름이라고 부르기도 뭐할 정도로 옅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아서 직접 관측으로 실체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하지만 혜성의
궤도경사각 통계로 볼때 ,오르트 구룸의 존재는 거의 확실시 되고 있습니다.오르트 구름은 혜성의
고향으로 불립니다.사실 단주기혜성은 카이퍼 벨트에서 오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장주기혜성과
비주기 혜성이 오르트 구름에서 오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지구상 생명체의 기원과 멸종에 연관되어
있는 혜성의 기원이 되는 장소인 만큼 연구가치가 충분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오르트 구름의 기원은 대략 46억년전에 태양 주위에 형성된 고유의 원시행성 원형의 나머지로 생각

됩니다.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행성과 소행성을 형성하는 같은 과정의 일부분으로 오르트 

구름의 물체가 처음에는 태양에 훨씬 가깝게 합쳐졌지만,목성과 같은 젊은 가스로 이러우진 거대 행성의

중력 상호작용이 그 물체를 극단적인 긴 타원 궤도나 포물선 궤도로 밀쳐냈다고 추측합니다.태양계의

형성과 진화의 과정에서 현재의 목성궤도부근부터 해왕성궤도 부근까지 존재하고 있던 작은 천체들이

거대행성의 중력과 태양계를 지나가던 주변 항성이나 가스구름에 의해 궤도 요소가 바뀌어 지금의 형태로

바뀌었다는 설입니다.오르트구름의 질량이 형성된 후 약 8억년 부근에서 가장 컸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태양에 가깝게 보이는 혜성들의 대부분은 은하계에서 발휘된 조석력으로 오르트 구름이 중력적인 왜곡을

받아 현재 위치에 도달햇다고 여겨집니다.은하의 거대한 조석력으로 태양계 외부에 있는 혜성의 궤도를

은하 중심쪽으로 당기면서 그을을 구부리거나 왜곡시킬수 있습니다.태양계의 바깥으로 나갈수록 태양의

중력은 더약하고,은하수 중력장의 변화도가 현저한 역할을 합니다.이런 변화도 때문에 은하 조석력은

은하의 중심 방향으로 구름을 뻗게하여 다른 두축의 방향으르로 누르면서 다른 구형의 오르트 구름으로

변형시킬수 있습니다.



반응형

'천문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젤란 은하 총정리  (2) 2020.08.21
지구 물의 기원  (0) 2020.08.19
별의 탄생과 소멸  (0) 2020.08.16
우주의 암흑물질  (0) 2020.08.14
평행우주론 총정리  (0) 20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