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이야기

목성의 특징과 목성의 고리

반응형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행성으로 지름은 지구에 약11배이며,육안으로 쉽게 관측이 되어 밝을

때에는 -2.5까지 기록이 되며 네개의 위성과 희거나 적갈색을 띈 띠가 특징입니다.목성의 대기는 수소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암모니아와 메탄도 존재하며 검은 줄무뉘를 띠,밝은 곳을 대라고 부릅니다.

대는 띠보다 온도가 낮고 더 높은 상승에 위치한다고 합니다.목성의 온도는 -148도로태양에서 받은

열보다 더 많은 열을 방출합니다.그 이유는 목성 내부에 열원이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목성의

내부 구조는 가장 깊숙한 곳에는 얼음이나 암석으로 이루어진 핵이 있으며 그 위로 액체 금속수소가

있고 그 위로 비균질 지역이 존재합니다.수소 분자지역,대기가 존재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목성의 지름은 14만 3200KM로 목성이 조금만 더 컷으면 목성 내부에서 핵반응으로 인한 제2의 태양이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합니다.하지만 목성의 밀도는 지구보다 낮아 약1/4밖에 되지 않습니다.그 이유는

목성은 태양처럼 밀도가 낮은 수소와 헬륨으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목성은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습니다.내부에 액체금속수소가 핵역활을 하여 오로라 현상도 나타나고 목성의 자기장의 크기는 목성의

지름보다 210배 크며 태양보다 22배 큽니다.


목성의 고리는 밀도가 낮고 희미한테 작은 암석이나 먼지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고리는 세부분으로 가장

안쪽은 뿌연 형태의 고리 중간의 주고리 바깥쪽의 얇고 희미한 고리를 나누어 목성으로부터 22만KM

떨어진 곳까지 분포하고있습니다.이러한 고리들은 얼음으로 이루어진 토성의 고리와는 다르게 먼지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봅니다.특히 할로 고리는 주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먼지가 대부분이며 고리 전체 질량은

목성의 위성 아드라스테아 와 비슷하다고 합니다.보통 고리의 물질들은 목성의 강력한 중력으로 목성쪽으로

크게틀어지게 되고 충돌로 인해 새로운 물질들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목성은 통상적으로 하늘에서 태양과 달,금성 다름으로 가장 밝은 천체입니다.지구에 대한 목성의 위치에
따라 목성의 겉보기등급은 충일때 -1.6등급으로 감소하며,가장밝은 시기는 목성이 근일점을 지나면서
충에 위치할 때입니다.지구는 태양을 공전하면서 목성을 398.9일 마다 한번씩 추월하는데,이 주기를
회합주기라고 합니다.이런 과정에서 지구에서 목성은 배경별에 대해 올가미 형태의 역행 운동을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목성의 궤도가 지구의 궤도의 바깥에 있기 때문에 목성의 위상각은 지구에서 봤을때 
절대11.5도를 넘을수 없습니다.즉 목성은 지구에서 망원경으로 관찰할 때 항성 거의 부름달처럼 
보입니다.때문에 우주선 탐사를 통해서만 목성의 초승달에 가까운 위상을 볼수 있습니다.보통 작은 
망안경을 통해서 목성의 네 갈립레이 위성과 목성의 대기상의 커다란 구름띠를 볼수 있습니다.좀더 큰
망안경을 통해서는 목성의 대적검을 볼수 잇디고 합니다.


반응형